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pring-cloud-aws
- react
- 철강
- 포트폴리오
- AWS SQS 들이파기
- 디스플레이
- MySQL
- JW생명과학
- 삼일씨엔에스
- Real MySQL
- 산업리포트
- Java
- 자바
- 기업분석
- SQS
- 유진기업
- 건기식
- 투자에 대한 생각
- 트러블슈팅
- 산업분석
- 현대건설기계
- AWS
- 2020포트폴리오
- 코틀린 기본
- 건설기계
- Kotlin
- Effective Java
- Spring Boot
- 하워드 막스
- Vue.js
- Today
- 2
- Total
- 325,465
목록디스플레이 (16)
공부하는 개발자

LG디스플레이 10.5G OLED 투자 지연에 관한 뉴스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6737 [영상] LG디스플레이 10.5G OLED 투자 지연에 관해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 한주엽 기자입니다. 오늘 이기종 기자 모시고 LG디스플레이 대형 OLED 사업. 10.5세대 공장 투자 건에 대해서 얘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이: 안녕하 www.thelec.kr 2020 사업보고서 당사는 OLED 제조장비의 핵심 기술은 증착기 및 증착원 기술을 보유하여 패널업체에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OLED 제조 공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폴리이미드 코팅 및 경화 → LTPS T..

Summary LCD TV 패널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며 주요 TV 세트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LCD 산업의 주도권은 중국 정부 디스플레이 산업 지원 정책의 힘입어 한국에서 중국 업체들로 완전히 넘어갔다. 중국 업체들은 강해진 LCD TV 패널 가격 협상력을 바탕으로 지난 수년간의 적자를 보상하기 위해 패널 가격을 계속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TV 세트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에 대한 고민은 계열사들의 LCD 구조조정에 따른 패널 수직계열화가 깨지면서 시작된 것이다. 향후 국내 업체들이 TV 세트 사업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새로운 전략의 패널 수직계열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LCD TV 사업만을 하고 있는 삼성전자)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SDC와 함께 22년에 QD-OL..

21년부터 디스플레이 장비 업종은 SDC의 신규투자와 함께 re-rating 될 것으로 전망 애플의 아이폰 OLED 패널 탑재율 증가로 A4 Fab Capa는 Tight한 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2H21 부터 30K 규모의 A4-2 신규 투자가 집행될 것으로 전망 22년에는 23년 출하 확대가 예정인 OLED 아이패드 생산을 위해 필요한 최소 30K 규모의 신규 투자가 나타날 것. 2H21 SDC 중소형 OLED 투자 재개 애플 OLED 스마트폰 출하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3Q20에 A3 Fab이 대응해야 했던 생산 물량은 약 6,700만대로 추정. 당시 A3 Fab에서 생산 가능한 공급 물량은 6,400만개 스마트폰 패널로 수요 대비 공급이 3% 수준으로 부족했던 것으로 파악 늘어나는 애플 OL..

올해 하반기부터 전방시장의 CAPEX 증가에 따른 신규 수주 모멘텀이 부각됨에 따라 장비 업종에 대한 re-rating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그 시작은 SDC의 L7-2 팹에서의 중소형 Flexible OLED 30K/월 투자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소 둔화되었던 중국향 수주 모멘텀도 하반기부터 재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형 OLED 투자 사이클에서 AP시스템을 top pick 으로, SFA와 ICD를 수혜 가능한 업체들로 추천한다. SDC 4년만의 중소형 OLED 투자 투자 개시 시점은 올해 하반기부터일 것으로 예상하며, 내년 하반기 양산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주 규모는 7G LCD → 6G Flexible OLED로의 전환임을 감안할 때 단순 전환투자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

당사는 SDC가 4Q20 부터 LCD 생산 라인 스크랩을 진행한 후, 1Q21에는 QD phase 2인 QNED 라인 투자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후 1Q22부터 QNED 라인 양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SDC, QD 중심의 대형 사업부 재편 예상 삼성이 QD를 차세대 대형 패널 기술로 주목하는 이유는 1) 크기에 따라 다른 색을 낼 수 있는 특성(양자구속효과)와 2) 무기물 소재의 안정성 때문이다. 향후 QD-OLED와 QNED에 이어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자발광(EL) 방식의 TV 패널을 위한 투자를 지속해 나갈 전망이다. QNED는 QD-OLED와 레이아웃이 유사하며, 발광원만 Blue OLED가 아닌 Blue Nanorod LED로 변경되었다는 점이 그 특징이다. SDC 대형 패널 시장의 판도..

과거 10년간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디스플레이 산업의 투자 대비 효율성은 반도체 대비 너무나 낮다. 이런 가운데 중국 업체들이 중국 정부와 지방 정부의 보조금을 등에 업고 계속해서 공격적인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 말 그대로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중국과 경쟁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한편, TV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Micro LED 및 QNED와 같은 새로운 기술의 출현 가능성이 계속 부각되고 있다. 이런 변수들을 고려해보면, 디스플레이 섹터에 대해서는 당분간 보수적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중소형 OLED 산업도 공급과잉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 보임 국내 디스플레이 양사는 더 이상 LCD에 미련을 두지 않기로 했다. 이제 두 회사 모두 중국 LCD 팹만을 남겨놓고 LCD 사업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