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ue.js
- Kotlin
- spring-cloud-aws
- SQS
- 삼일씨엔에스
- 산업리포트
- 유진기업
- 코틀린 기본
- 철강
- AWS SQS 들이파기
- 자바
- 하워드 막스
- 산업분석
- 기업분석
- react
- 트러블슈팅
- JW생명과학
- MySQL
- 건설기계
- Real MySQL
- 포트폴리오
- 디스플레이
- 건기식
- 투자에 대한 생각
- Effective Java
- 현대건설기계
- Spring Boot
- Java
- AWS
- 2020포트폴리오
- Today
- 375
- Total
- 325,460
목록주식 공부 기록하기/04. 투자기업 모니터링 (8)
공부하는 개발자

이익 (연결) 매출 214억 → 517억으로 2배가량 상승 매출원가율 75.6% → 21년도 매출원가율 81.6% (6.0%p 상승) 판관비 92.5억 → 102.3억으로 약 8억원 상승 때문에 연결 영업이익은 -7억원으로 적자이어감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은 11.2억원 이익 (별도) 매출 77억 → 382억, 큰 폭의 성장 매출원가율 82.3% → 77.4% 영업이익 -44.4억 → 6.3억 당기순이익 19.9억 별도 기준은 영업이익 흑자로 돌았으나, 어차피 수주 잔고가 바닥이라 별 의미 없다.. 근데 금융수익 - 금융비용이 13억이네 뭐임 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외화환산이익이었음.. 별 의미 없지 않을까?) OCF 59억, 기초 현금 115억 → 기말현금 205.8억 별도기준 현금 200억 ㅋㅋㅋㅋㅋ 이거..

2021 03 16 한투 해외주식 : 철강, 2016년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16년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났다. 중국의 공격적인 생산 능력 축소 : 16 ~ 20년 동안 1 ~ 1.5억톤의 설비를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발표 직후에는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하지만 16년 6월 바오샨철강과 우한철강이 합병됐고, 구조조정 규모가 계획보다 빠르고 컸다. 2배가 된 철강 가격 및 컨센서스 상향 중국의 철강 산업 구조조정 방안이 발표된 후, 세계 철강 기업 주가가 16년에 크게 올랐다. 계획보다 빠른 생산 능력 감축이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21년에도 유사한 움직임을 전망한다. 백신 접종에 따른 경제 성장화 미국의 인프라 투자 중국 철강 업종 제2구조조정에 대한 기대 2021 03 ..

주식 투자는 정말 어렵다. 올해 초부터 나는 철강 시장을 열심히 공부해왔다.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함께 포스코, 포스코강판, 동국제강, 현대제철을 공부했는데 포스코강판이 영위하는 냉연 사업 (그리고 컬러강판 사업의 호황)은 너무나도 뻔했으며, 포스코강판과 동국제강을 모두 살펴보고 난 다음의 결론은 동국제강이 더 좋을 것이다 라는 결론이었다. 그 근거는 크게 3개가 있었다 동국제강이 PBR 기준으로 더 누워있었다. (포스코강판 시총 1100억 기준 PBR 0.495, PSR 0.121 / 동국제강 8400억 기준 PBR 0.418, PSR 0.161) 동국제강은 컬러강판의 업계 1위 사업자였고 올해 하반기에도 증설 예정이다. (포스코강판은 장기적으로 M/S를 빼앗길 수 있다) 컬러 강판 뿐만 아니라..

2020년 11월 24일 (매도 다음날) 복기 물론 더 장기적인 시간이 지나야 명확한 진단이 가능하겠지만 하루가 지난 시점에서 복기를 해본다 내가 적었던 매도 사유는 아래와 같다. 반박) 환이 많이 떨어져서 생각보다 턴이 쎄게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 https://www.youtube.com/watch?v=bJRc1ksppXA 환이 떨어진다는 뜻은 오히려 한국 수출기업 펀더멘탈이 좋아진다는 뜻. 환차손보다 Q가 더 늘어나는 경향 추가적인 이벤트) 매도일(2020-11-23) 다음날(2020-11-24)은 두산인프라코어 인수전이었다. M&A 모멘텀이 유효했던 날이었으며, 입찰 가능성이 제일 높았고 입찰될 경우 이익 증익에 큰 도움이 되는 건이었다. 리포트 TP가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었다. (PER로 각이 안..

사업 체크 3분기 레미콘 판가 : 66,431 (올해 1,2분기 평균은 66,549였는데 0.16% 정도 하락) 3분기 레미콘 생산량 : 대략 150만m^3 (올해 1,2분기 평균은 175만, 12% 정도 하락) 숫자 체크 자본총계 8410억 / 현재 시총 3518억 (주당 4,550) PBR 0.42 3분기 순이익 142억, 누계 661억 결론 태풍과 장마가 지속되었음을 감안하면 딱 예상한 정도의 실적. 모두가 3분기는 좋지 않을거라 판단했을 것임, 배당 측면에서도 문제 없음 앞으로의 방향성 바뀌지 않았고, 과도하게 비싸지지도 않았음 현재 물량은 홀딩, PBR 0.40 미만으로 내려가면 20~50% 물량 확대 예정

사업 3분기는 역시 안좋음, 19년도 보다 좋지 않음 숫자 자본총계 2775억 / 현재 시총 1343억 (10,550) PBR 0.484 누적 -7.5억 최근 뉴스 PHC 경기 회복세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010130148120580385 PHC 가격이 올라가고 있지는 않지만 수요는 올라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 한가지 이슈로는 판스프링 단속과 관련하여 PHC 운반이 쉽지 않다는 것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차피 이연되는 수요) 결론 건자재 3분기 안좋은거 누가 모름 ㅋㅋ 방향은 어차피 upside 현금 630억 (이번 분기 손해본 20억, 증가한 재고 및 채권 등에 의해 110억 정도 감소) 아 올해 배당 어떻게 되려나.... 사모펀드는 무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