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공부 기록하기/01. 산업분석

[건설기계 산업] 두산인프라코어/현대건설기계 사업보고서 간단 정리

lannstark 2020. 9. 25. 19:10
2020년도 반기보고서

두산인프라코어 사업보고서

계절적 수요의 변동성이 큰 산업이다. 한국 시장은 가동률이 떨어지는 우기 및 동절기는 비수기로서 건설기계 시장의 수요가 크게 줄어들고, 상하수도 공사 및 토목공사가 활발해지는 3~5, 9~11월은 성수기로서 시장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중국 시장은 정부 정책 및 투자가 집행되는 3~5월은 성수기로서 시장 수요가 최고로 증가하며 중국 남부 지역의 우기가 시작되는 6~8월은 비수기로서 시장 수요가 감소한다.

16년 이후 세계 건설기계 시장에는 글로벌 경기 회복 및 재구매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 모멘텀이 이어졌으며 19년에는 북미 비주택 및 공공건설 부문의 성장, 유럽 주택 수요 및 인프라 투자 증가, 중국 정보 주도 인프라 투자 지속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건설기계 시장은 고객의 needs가 점차 다변화/새분화되는 추세에 발맞춰 솔루션 비즈니스의 중요성이 증대될 것이며, 건설 현장에서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디지털 기반 신사업의 성장 기회가 더욱 확대딜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 건설기계와 엔진 산업은 에너지 산업, 건설 경기 및 자동차 경기 등을 비록한 전방 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분야로서 전반적인 국내 경기상황, 정부의 SOC 투자 정책과 해외 경제 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됩니다. 원자재 가격 상승 시 관련 투자 증가 및 기계 가동률 상승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의 상관간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건설기계 사업보고서

건설기계는 도로, 건물 건설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과 광산, 농업, 산림 등 다양한 장소에서 굴삭, 자재운반, 파쇄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계장치이다.

건설기계 산업의 전방산업은 건설, 대규모 인프라구축 산업으로 선진시장의 건설경기, 중국 등 신흥시장의 인프라확대에 따라 2011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다 미국 및 유럽 금융위기로 2015년까지 글로벌 수요는 축소되었다. 2016년부터 중국, 인도 등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는 추세이며, 장기적으로는 신흥국들의 도시화 진행 및 경제개발에 힘입어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할 전망이다. 또한, 향후 광산 및 원자재 시장의 회복 시에는 관련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기계시장은 도심 지역 공사 증가에 따라 중대형 굴삭기 중심에서 소선회 소형 굴삭기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 소선회 : 장비의 후방 선회반경을 최소화하여 작업 시 장비의 돌출을 최소화한 장비

금융위기 이후 최근 건설기계시장은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전체 판매 중 렌탈업체 대상 판매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건설기계장비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 입장에서는 직접구매에 따른 대규모 자금부담이 필요하지 않은 렌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기반으로 한 렌탈시장의 성장은 건설기계 업체들에게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수요의 상당부분은 중국, 북미, 유럽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비 활용목적에 따라 각 지역별 수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유럽지역은 도심 재개발, 재건축 등 협소한 공간에서 수행되는 공사가 많아 소형장비의 판매 비중이 높다. 반면 중국, 인도는 도시개발 계획에 따른 도로 / 철도 / 상하수도 공사 등 인프라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중대형 장비의 수요가 높다. 건설기계 산업은 대표적인 경기민감 산업으로 국내외 경기흐름, 부동산 및 SOC 투자, 국가별 정책기조 등에 따라 시장수요가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생산량 상당부분이 수출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 미국, 일본 등 다양한 글로벌 업체들이 경쟁체제를 구축하고 있어 환율 변동에 따른 가격 경쟁력 변화도 중요한 수요 결정요인이다.

글로벌 수요는 1년에 100만대 정도, 확실히 18년도 19년도가 좋았음. 2016년 이후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같은 부동산 및 인프라 투자 증가, 북미/유럽 지역의 경기회복 및 주택시장 호조 등으로 시장이 좋아짐.

경쟁 요소 -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딜러 네트워크를 통한 판매채널, 브랜드